2016년 컨테이너 물동량 분석 및 시사점

항만자료실 게시글 보기
등록일 2017.02.21. 조회수 2276
첨부파일

2016년도 컨테이너 물동량 분석 및 시사점.hwp hwp파일 2016년도 컨테이너 물동량 분석 및 시사점.hwp

 

     

     

́16년도 컨테이너 물동량분석 및 시사점

 

    

     

     

     

     

핵심 요약

     

     

     

     

     

물동량

 

(물동량) 2,377천TEU( ́15년) → 2,680천TEU( ́16년)

(증가 순위) 積컨 수입 > 空컨 수출 > 積컨 수출

* (積수입) 130천TEU, (空수출) 98천TEU, (積수출) 56천TEU

     

주요

증가

원인

 

(積수입) 2개국(중국·베트남) 수입 증가

* (원인) FTA발효에 따라 수도권의 對중국(86천TEU) 및 베트남(86천TEU) 수입량 증가

     

(積수출) 4개국(베트남·중국·멕시코·이란) 수출 증가

* (원인) FTA 발효, 멕시코 기아공장 가동, 중동 항로서비스 개설

     

(空수출) 對중국 적컨 수출입 불균형 및 공컨 해송 전환량 증가

     

* (원인) 對중국 積컨 물동량의 수출입 차이 심화 및 수도권에서 발생된 공컨의 해송(인천항→부산항) 전환량 증가 : (중국) 54천TEU, (국내 타항) 30천TEU

     

 

 

(물류육성팀)

     

     

주요내용 요약 및 시사점

     

가. 물동량 실적

     

□ 증가량 : 303천TEU (12.7%↑)

   ◦ ( ́15년) 2,377천TEU → ( ́16년) 2,680천TEU

     

◦ 증가량 크기 : 積컨 수입 > 空컨 수출 > 積컨 수출

     * (積수입) 130천TEU, (空수출) 98천TEU, (積수출) 56천TEU

     

     

나. 물동량 부문별 주요 증가 요인

     

□ (積수입) 2개국(중국·베트남) 수입 증가

   ◦ (원인) FTA 발효 및 수도권의 對중국 수입량 증가

     * 증가량 : (중국) 86천TEU, (베트남) 24천TEU

□ (積수출) 4개국(베트남·중국·멕시코·이란) 수출 증가

  (원인) FTA 발효, 멕시코 기아공장 가동, 중동 항로서비스 개설

     

(空수출) 對중국 적컨 수출입 불균형 및 공컨 해송 전환량 증가

     

◦ (원인) 對중국 積컨 물동량의 수출입 차이 심화 및 수도권에서 발생된 공컨의 해송(인천항→부산항) 전환량 증가

     * 증가량 : (중국) 54천TEU, (국내 타항) 30천TEU

  

 

다. 시사점 - 컨테이너 물동량 관점

     

   월 평균 25만TEU 물동량 처리의 위상 상승

     - ́16.10월 이후 월 25만TEU 이상 연속 처리

     

수입과 수출 물동량의 불균형 심화 지속

     - 수출화주 대상의 마케팅 강화 및 원양 항로서비스 추가 유치 필요

     

   ◦ 풀컨테이너선의 척당 물동량 회복 및 입항척수 증가

     * 증가량 : (중국) 54천TEU, (국내 타항) 30천TEU

     

. 물동량 실적

     

1

     

́ ́16년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 물동량 증가량 : 302,704TEU (12.7%↑)

* ( ́14년) 2,334,939TEU → ( ́15년) 2,376,996TEU → ( ́16년) 2,679,700TEU

ㅇ 증가량 크기 : 積컨 수입 > 空컨 수출 > 積컨 수출

    * (積수입) 130,389TEU, (空수출) 98,235TEU, (積수출) 56,497TEU

     

(단위 : TEU, %)

구분

́15년(A)

́16년(B)

차이(B-A)

물동량

비중

물동량

비중

물동량

증감율

수입

1,197,381

50.4

1,327,770

49.5

130,389

10.9

26,463

1.1

45,817

1.7

19,354

73.1

소계

1,223,844

51.5

1,373,587

51.3

149,743

12.2

수출

612,037

25.7

668,534

24.9

56,497

9.2

514,386

21.6

612,621

22.9

98,235

19.1

소계

1,126,423

47.4

1,281,155

47.8

154,732

13.7

환적

16,168

0.7

15,520

0.6

△648

△4.0

654

0.0

149

0.0

△505

△77.2

소계

16,822

0.7

15,669

0.6

△1,153

△6.9

연안

9,077

0.4

8,513

0.3

△564

△6.2

832

0.0

778

0.0

△54

△6.5

소계

9,908

0.4

9,290

0.3

△618

△6.2

총계

1,834,663

77.2

2,020,336

75.4

185,674

10.1

542,334

22.8

659,364

24.6

117,030

21.6

합계

2,376,996

100.0

2,679,700

100.0

302,704

12.7

. 물동량 부문별 주요 증가 요인

     

1

     

컨테이너

     

□ (積수입) 2개국으로부터 수입 증가가 주도

     

중국 : 86천TEU 증가 (수입 총 증가량 대비 비중 65.9%)

     

베트남 : 24천TEU 증가 (수입 총 증가량 대비 비중 18.3%)

     

【중국‧베트남 對항만별 인천항의 積컨 수입 물동량】 (단위 : 천TEU, %)

중국

베트남

항만

물동량

전년대비

항만

물동량

전년대비

ˊ15년

ˊ16년

증감량

증감율

ˊ15년

ˊ16년

증감량

증감율

합계

695

781

86

12.4

합계

109

133

24

21.9

세코우

94

114

20

20.9

하이퐁

40

53

13

31.9

상해

123

136

13

10.8

호치민

55

67

11

20.4

청도

85

93

8

9.9

Cat Lai

12

12

     

△1.9

샤먼

52

62

10

18.7

기타

2

2

     

△2.2

닝보

38

45

6

16.0

     

기타

303

332

29

9.5

     

(원인) 1. (중국) FTA 효과 및 수도권의 對중국 수입량 증가

                * 경인권 수입량(천톤) : ( ́15년) 13,351 → ( ́16년) 16,153 / 21.0% 증가

2. (베트남) FTA 및 한국의 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효과

           3. 對중국·베트남과 방직용 섬유 및 그제품, 전기기기류, 기타잡화의 교역량이 각각 21.0%, 8.8%, 8.0% 증가

     

[참고] 對중국·베트남 ‘컨’수입 증가 상위 3개 품목 (증가량 기준)

                                                              (단위 : 천RT)

구분

중국

베트남

1위

방직용 섬유 및 그제품 (1,538)

방직용 섬유 및 그제품 (194)

2위

전기기기 및 그부품 (222)

전기기기 및 그부품 (89)

3위

기타 잡화 (157)

기타 잡화 (40)

□ (積수출) 4개국으로의 수출 증가가 주도

     

베트남 : 26천TEU 증가 (수출 총 증가량 대비 비중 45.5%)

     

중국 : 15천TEU 증가 (수출 총 증가량 대비 비중 25.9%)

     

멕시코 : 8천TEU 증가 (수출 총 증가량 대비 비중 3.9%)

     

이란 : 4천TEU 증가 (수출 총 증가량 대비 비중 8.0%)

     

【주요 국가별 積컨 수출 물동량】 (단위 : 천TEU, %)

구분

ˊ15년

ˊ16년

증가량

증가율

증가량 비중

합계

612

669

56

9.2

100.0

베트남

78

104

26

32.9

45.5

중국

336

351

15

4.4

25.9

멕시코

     

8

8

195,775.0

13.9

이란

     

5

4

1,404.4

8.0

기타

198

201

4

2.0

6.8

     

(원인) 1. (베트남) FTA 및 한국의 투자규모 확대에 따른 효과

               * 투자액(백만불) : ( ́15년) 1,497 → ( ́16년) 1,727 [자료 : 한국수출입은행]

2. (중국) FTA 및 인천·경기의 對중국 수출량 증가

               * 경인권 수출량(천톤) : ( ́15년) 4,921 → ( ́16년) 5,825, 18.4% 증가

3. (멕시코) 멕시코 기아공장과 관련한 품목 수출 급증

               * 일반차량·부품(천톤) : ( ́15년) 2.4 → ( ́16년) 33, 14배 증가

               * 기계류(천톤) : ( ́15년) 0.7 → ( ́16년) 14, 20배 증가 [자료 : 관세청]

4. (이란) ́16.6월 중동 항로서비스 개설·운영 효과

     

[참고] 對중국·베트남 ‘컨’수출 증가 상위 3개 품목 (증가량 기준)

                                                              (단위 : 천RT)

구분

중국

베트남

1위

방직용 섬유 및 그제품 (211)

방직용 섬유 및 그제품 (207)

2위

기타 잡화 (100)

기타 잡화 (71)

3위

화학공업생산품 (86)

프라스틱‧고무제품 (50)

2

     

컨테이너

     

(空수출) 對중국 적컨 수출입 불균형 및 공컨 해송 전환량 증가  

     

<중국> 증가량 : 54천TEU

     

ㅇ 積컨 수입-수출 물동량 차이의 전년대비 증가량 : 71천TEU

     

(원인) 인천항-중국 간 積컨 물동량의 수출입 차이로 인해 空컨 수출물동량 발생

     

* 인천항의 對중국 공컨 수출물동량 (441천TEU)

≒ 인천항의 對중국 적컨 수출입[수입-수출] 차이량 (430천TEU)

+ 인천항 對중국 공컨 수입물동량 (14천TEU)

     

【對중국 수출입 積컨 물동량 차이】 (단위 : 천TEU, %)

구분

積컨 수입(A)

積컨 수출(B)

차이량(A-B)

空컨 수출

空컨 수입

́15년

695

336

359

387

9

́16년

781

351

430

441

14

증감량

86

15

71

54

4

증감율

12.4

4.4

19.8

14.0

46.9

     

<국내 타항> 증가량 : 30천TEU

     

(원인) 의왕 철송장의 공컨 장치율 포화 및 인천신항의 공컨 수용 확대로 인하여 수도권에서 발생된 공컨의 해송 전환량 증가

     

【주요 선사별 국내 타항 환적용 空컨 수출물동량】 (단위 : 천TEU, %)

구분

ˊ15년

ˊ16년

증가량

증가율

합계

94

124

30

32.0

장금상선

6

17

11

198.8

흥아해운

1

8

7

568.5

머스크

     

3

3

-

동진상선

2

4

3

131.9

고려해운

34

36

2

7.3

팬오션

1

4

2

163.5

기타

50

52

2

3.1

. 시사점 - 컨테이너 물동량 관점

     

󰊱

     

월 25만TEU 이상의 물동량 처리로 위상 상승

     

(현황) ́16.10월 이후 월 25만TEU 이상 연속 처리

* 월 물동량 : (10월) 251천TEU → (11월) 253천TEU → (12월) 263천TEU

     

(원인) 1. 인천신항 HJIT의 개장‧운영 효과 (추가 부두시설 공급)

2. 한·중 FTA 및 한·베트남 FTA 발효 효과

3. 한진해운 사태에 따른 반사효과 (인천항 이용률 증가)

     

󰊲

     

수입과 수출 물동량의 불균형 심화 지속

     

     

(현황) 積컨의 수입은 130천TEU 증가한 반면 수출은 56천TEU 증가하여 격차가 74천TEU 더 커짐으로써 불균형 심화가 지속됨

[참고] 수입-수출 積컨테이너 물동량 차이 (단위 : 천TEU)

구분

積수입

積수출

차이

비고

́15년

1,197

612

585

증가량 : 74

́16년

1,328

669

659

     

(원인) 1. 수도권 소비수요용 수입화물의 관문항 역할 증대

2. 원양항로 부족에 따른 수도권 수출화주의 타항 이용

              * 수도권 수출 ‘컨’ 처리비중 : (인천항) 30.0% (평택항) 4.7%, (경인항) 0.3%

(문제점) 1. 인천항 이용선사의 운송 수익구조 불리 및 운임원가 상승

2. 공컨테이너의 수급‧운용비용 증가

3. 수도권 수출입화물의 물류원가 감축 불리

     

(대책) 1. 수출위주 화주 대상의 마케팅 최우선

2. 원양(북미, 중남미 등) 항로서비스 추가 유치

3. 항만배후단지에 역직구(수출) 전자상거래 물류업체 유치

           4. 신규 배후단지 입주업체 평가시 수출물량 항목 가점 부여

     

󰊳

     

풀컨테이너선의 척당 물동량 회복 및 입항척수 증가

     

(척당 물동량) ́15년에 746TEU를 보이면서 하락하였으나 ́16년 891TEU로 높아져 ́14년 수준으로 회복

     

(입항 척수) 인천신항(HJIT)의 부두 공급, 항로서비스 증가 등으로 2,519척이 입항하면서 전년대비 116척 증가

[참고] 주요 터미널별 풀컨테이너선 입항척수 및 척당 물동량 추이

구분

입항 척수(척)

척당 물동량(TEU/척)

'13년

'14년

'15년

'16년

'13년

'14년

'15년

'16년

전체

2,067

2,152

2,403

2,519

831

890

746

891

SNCT주)

-

-

740

706

-

-

659

785

HJIT

-

-

-

221

-

-

-

1,144

ICT

625

610

769

732

948

1,029

855

937

E1CT

359

443

445

427

662

762

795

788

주) ́15년 자료는 SICT 포함

     

(원인) 1. ́16.3월 인천신항(HJIT) 일부 개장

2. 경인권(인천·경기)의 對중국 수출입 물동량 호조

               * ( ́15년) 18,272천톤 → ( ́16년) 21,979천톤, 20.3% 증가 [자료 : 관세청]

3. 수출입 화주의 인천항 서비스수준에 대한 인식 향상

목록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무엇을 도와 드릴까요?챗봇 열기(새창)

빠른메뉴 서비스

메뉴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