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항 및 배후단지 건설사업
인천신항 부두 건설
1.사업목적-
인천신항을 북중국 항만 및 환황해권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부두로 개발하여 급속히 증가하는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의 원활한 처리와
국제물류 거점항만으로 도약하고자 함
- 사업기간 : 2007년 ∼ 2040년
-
부두 개발 계획
부두 개발 계획 구분 총계 1-1 단계(완료) 1-2 단계 1-3 단계 운영사 - HJIT SNCT - - - - 부두길이(m) 3,700 800 800 1,050 350 350 350 CY면적(천㎡) 2,220 480 480 630 210 210 210 하역능력(TEU) 486만 105만 105만 138만 46만 46만 46만 개장시기 - 420m('16.3.)
380m('17.11.)410m('15.6.)
390m('17.4.)'30년 '40년 '40년 장래 -
배후단지 개발 계획
배후단지 개발 계획 구분 총계 1-1 단계 1-2 단계 구역 - 1구역 2구역 3구역 - CY면적(천㎡) 2,550 660 940 540 410 준공시기 '18~'25년 '20년 민자 '22년 '25년
인천 신항 안내도
부두 개발 계획
운영사(구분) / - (총계) / - (소계) / HJIT, SNCT(1-1단계) / -(소계)/-,-(1-2단계) / -, - (1-3단계)
부두길이(m)(구분) / 3,700(총계)/1,600(소계) / HJIT:800, SNCT:800(1-1단계) / 2,1000(소계) / 1,050, 350(1-2단계) / 350,350(1-3단계)
CY면적(천㎡)(구분) / 2,220(총계) /960(소계) / HJIT:480, SNCT:480(1-1단계) / 1,260(소계) / 630, 210(1-2단계) / 210, 210(1-3단계)
하역능력(TEU)(구분) / 486만(총계) /210만(소계) / HJIT:105만, SNCT:105만(1-1단계) / 276만(소계) / 138만, 46만(1-2단계) / 46만, 46만(1-3단계)
개장시기(구분) / -(총계) / -(소계) / HJIT : 420m('16.3.), 380m('17.11), SNCT:410m('15.6.), 390m('17.4) (1-1단계) / -(소계) / '30년, '40년(1-2단계) / '40년, 장래 (1-3단계)
배후부지 개발 계획
구역(구분) / - (총계) /1구역, 2구역, 3구역(1-1단계) / -(1-2단계)
CY면적(천㎡)(구분) / 2,550(총계) / 600(1구역, 1-1단계), 940(2구역, 1-1단계), 540(3구역, 1-1단계) / 410(1-2단계)
준공시기(구분) / '18~'25년(총계) / '20년(1구역, 1-1단계), 민자(2구역, 1-1단계), '22년(3구역, 1-1단계) / '25년(1-2단계)
안내도 정가운데 항만배후단지 예정지역(장래)를 기준으로 바로 아래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체육시설(바로 아래 신항 1-3단계(2040(장래)) 350m 350m 총 너비 700m),
1구역(2020)(바로 아래 HJIT(한진터미널), 800m 너버),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2구역(민자)(바로 아래 SNCT(선광터미널), 너비 800m),
3구역(2022)(바로 아래 신항 1-2단계(2030), 너비 1,050m),
신항 배후단지 1-2단계(2025)(바로 아래 신항1-2단계(2040 너비 350m))가 차례로 있습니다.
정가운데 항만배후단지 예정지역(장래)의 왼편에는 신항 2단계(장래)가 있으며
바로 아래 LNG인수기지, 보안부두, 해경부두, 한국가스공사 콜핀 E1 콜핀이 있습니다.
1) 인천신항 ‘컨’부두 1-1단계 건설공사(완료)
1.사업개요-
사업개요 구분 A터미널(한진) B터미널(선광) 비 고 사업시행자 하부공 : 인천항만공사
상부공: 한진인천‘컨’터미널(주)하부공 : 인천항만공사
상부공: 선광 신‘컨’터미널(주)사업내용 안벽 800m, CY조성 48만㎡,
하역장비 및 운영건물 11동안벽 800m, CY조성 48만㎡,
하역장비 및 운영건물 8동공사기간 2014.04.25 ~ 2015.12.24 2013.07.09 ~ 2016.12.31 접안규모 3천TEUx1, 2천TEUx2 3천TEUx1, 2천TEUx2 하역능력 105만TEU 105만TEU
- ‘09.04 : 하부공사 실시계획 승인(국토부,항만공사법 제22조)
- ‘09.04 : A, B컨테이너부두 하부공사시행
- ‘10.04 : 터미널 운영사 선정
- ‘13.07, ’14.04 : A,B터미널 상부공사 시행
- ‘15.06 : B터미널 부분개장(전체 800m 중410m)
- ‘16.03 : A터미널 부분개장(전체 800m 중420m)
- ‘17.04 : B터미널(SNCT) 전체개장
- ‘17.11 : A터미널(HJIT) 전체개장
2) 인천신항 ‘컨’부두 1-2단계 건설공사
1. 사업개요- 사업 내용 : 4천TEU급 ‘컨’부두 3선석(L=1,050m) 상·하부공 1식
- 사업 기간 : 2019년 ~ 2030년
- ’19.04. :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확인 및 하부공 입찰방법 결정(T/K)
- ’19.08. : 제2차 신항만건설 기본계획 고시(해수부 제2019-122호)
* 2030년까지 4천TEU급 이상 3선석,2040년까지 4천TEU급 이상 2선석 개발 반영 - ’19.11. : 기초자료 및 타당성조사 용역 착수(준공예정 : ’20.05.10.)
- ‘20.06~’20.12 : 하부공 T/K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적격심의
- ‘21.상반기 : 인·허가 및 하부공사 착공
인천신항 ‘컨’부두 1-2단계 이미지위에 대략적인 구역별 추진계획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방위표가 표시되어 있고, 북쪽이 10시방향을 가리킵니다.
12시 방향에 신항 배후단지 1-1단계(왼쪽부터 1구역은 2020년, 2구역은 민자, 3구역은 2022년)이 표시되어 있으며
바로 오른편에 역삼각형 모양으로 신항 배후단지 1-2단계가 2025년, 바로옆 관리부두가 작게 표시, 신항 1-2단계 2040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아래쪽에 7시방향 사선으로 차례대로 신항 1-2단계가 2030년에 계획, 신항 1-1단계(위쪽, SNCT선광터미널과 아래쪽 HJIT 한진터미널이 있음),
한진터미널 에서 7시방향 사선으로 신항 1-3단계가 2040년에 계획 내부에 왼쪽 아래 "장래"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인천신항 ‘컨’부두 1-2단계 이미지위에 대략적인 구역별 추진계획입니다.
오른쪽 상단에 방위표가 표시되어 있고, 북쪽이 9시방향을 가리킵니다.
12시 방향에 왼쪽부터 차례대로 신항 배후단지 1-2단계(2025년), 관리부두, 신항 1-2단계(2040년) 있으며
1시 방향을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신항 1-2단계(2030년), 신항 1-1단계(SNCT - 선광터미널과 HJIT - 한진터미널)이 있고 바로 아래 신항 1-3단계
(2040년, 내부에 오른쪽 하단 작게 장래라고 표시)
9시방향에 신항 배후단지 1-1단계 중 1구역(2020년), 바로 위 2구역(민자), 바로위 3구역(2022년)이 위쪽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