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3월 컨테이너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20퍼센트 증가…역대 3월 중 최대 물동량 처리
등록일 | 2023.04.25. | 조회수 | 1454 |
---|---|---|---|
첨부파일 |
(ipa 보도자료) 230425 인천항, 3월 컨테이너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20퍼센트 증가…역대 3월 중 최대 물동량 처리.hwp |
○ 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최준욱)는 지난달 인천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29만 8,933TEU를 기록해 역대 3월 물동량 중 최대치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 IPA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 물동량은 15만 5,901TEU, 수출 물동량은 13만 8,520TEU로 각각 전년 동월 대비 28.0%, 16.0%씩 증가했다. 환적과 연안 물동량은 각각 4,037TEU와 475TEU를 기록했다. 1분기 누계 기준 컨테이너 물동량은 80만 542TEU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했다.
○ 국가별 컨테이너 수입 물동량은 중국 8만 7,420TEU, 태국 1만 615TEU, 베트남 2만 497TEU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 대비 각 1만 6,547TEU(23.3%), 6,141TEU(137.3%), 5,067TEU(32.8%) 증가했다.
○ 국가별 수입 비중은 중국 56.1%, 베트남 13.1%, 태국 6.8%, 말레이시아 3.2%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4개 국가의 합은 전체 수입 컨테이너 물동량의 79.2%를 차지했다.
○ 국가별 컨테이너 수출 물동량은 중국 8만 7,011TEU, 대만 6,619TEU, 싱가포르 2,046TEU로 나타났으며, 전년 동월 대비 각 1만 4,584TEU (20.1%), 3,533TEU(114.5%), 1,823TEU(817.6%)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 국가별 수출 비중은 중국 62.8%, 베트남 8.6%, 대만 4.8%, 홍콩 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4개 국가의 합은 전체 수출 컨테이너 물동량의 78.9%를 차지했다.
○ IPA는 지난달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요인을 ▴컨테이너선의 기항 증가 효과에 따른 중국, 태국, 베트남 수출입 호조 ▴자동차 품목 적재용 공컨테이너 회수 증가 ▴중국으로의 공컨테이너 리포지션(재배치) 증대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 먼저, 지난달 입항한 컨테이너선 척수는 지난해 동월 231척에서 53척 증가한 284척으로 22.9%의 기항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말부터 글로벌 항만적체가 완화되면서 인천항을 건너뛰는 상황이 개선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 또한, 올해 1월부터 지난달까지 누계 기준 관세 신고자료에 따르면, 인천항에서 수출하는 중고차 총 10만 8천 대 중 77.4%에 해당하는 약 8만 3천 대가 컨테이너선으로 운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중고차 적재용 공컨테이너가 인천항으로 다시 회수되어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 더불어 최근 수출 경기 하락세에 따라 수도권의 잉여 공컨테이너가 장치 여유가 있는 중국으로 리포지션되는 것도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 IPA는 기존 컨테이너 항로서비스 안정화와 신규 항로서비스 개설 추진을 통해 컨테이너 선사, 컨테이너 터미널 등 관련 해운업계와 화주가 선호하는 물류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 인천항만공사 윤상영 물류전략실장은 “올해 1분기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 특성과 추이로 비추어 볼 때, 인천항 물동량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고객과의 소통을 통한 지속적인 물류환경 개선과 서비스 제공으로 올해 도전적인 컨테이너 목표인 345만TEU를 달성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객님의 의견들입니다.
등록번호 | 구분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공개여부 | 답변여부 |
---|---|---|---|---|---|---|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