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2005년 대비 2020년 컨테이너 물동량 185.5% 증가…1974년 이후 총 4,341만TEU 처리

PRESS RELEASE 게시글 보기
등록일 2021.07.25. 조회수 2280
첨부파일

(ipa 보도자료) 210725 ipa, 2005년 대비 2020년 컨테이너 물동량 185.5 증가 1974년 이후 총 4,341만teu 처리.hwp hwp파일 (ipa 보도자료) 210725 ipa, 2005년 대비 2020년 컨테이너 물동량 185.5 증가 1974년 이후 총 4,341만teu 처리.hwp

(사진1)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jpg파일 (사진1)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사진2)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jpg파일 (사진2)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사진3)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jpg파일 (사진3)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사진4)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jpg파일 (사진4)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jpg

(사진5)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경.jpg jpg파일 (사진5)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경.jpg

372년 능허대 한나루의 바닷길 역사를 이어온 인천항은 1883 제물포조약에 의해 부산항과 원산항 다음으로 근대개항 된 항만으로, 1946년 우리나라 총 수입의 94%를 처리하는 수입 물동량 처리 중심 항만이었다.

 

1974년에는 동양 최초로 갑문시설을 갖춘 내항 제4부두가 다목적부두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시설을 도입해 개장하면서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기 시작했다.

 

인천항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는 20047월 남항 인천컨테이너터미널(ICT) 1단계가 개장한 것이 최초로, 인천항만공사가 설립된 2005년 이후 컨테이너 전용부두 개발이 본격화되었으며,

 

남항에 2005년 선광컨테이너부두(SICT), 2009E1컨테이너부두(E1CT), 인천신항에 2015년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 2016년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이 차례로 개장하면서 컨테이너 항만으로서의 면모를 갖췄다.

 

천항에서 1976년 이후 2020년까지 처리한 컨테이너물동량의 총 합계는 TEU 기준*으로 총 4,3412,150TEU이며, 컨테이너 길이를 연결하면 지구둘레를 6.6바퀴 도는 길이와 맞먹는다.

  

  * 우리나라의 항만물동량 기록은 정부의 항만편람 또는 항만통계연보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컨테이너물동량 통계는 1969년부터 톤 단위로 수록되었고, 1976년부터는 TEU 단위로 발표하고 있다.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

 

 

 

연도별로는 197633,366TEU를 시작으로 2004934,954TEU를 처리했으며, 인천항만공사가 설립된 해인 2005 인천항 최초로 100TEU를 달성하고 9년 뒤인 2013년에 200TEU, 4년이 지난 2017년에 300TEU 기록을 달성했다. 2005년과 비교하여 2020년에는 약 3배에 가까운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하면서 세계 50위권 항만으로 성장하였다.

 

  * 세부 물동량 통계자료는 붙임참조

 

수출입별 컨테이너 물동량을 보면 수입이 200556TEU에서 2020162TEU190.8% 증가했다. 수출은 200550TEU에서 2020157TEU215.6% 증가했다. 반면 연안물동량은 8TEU에서 20200.9TEU89.3% 감소하면서 그 비중도 7.3%에서 0.3%로 낮아졌다.

 

인천항의 상위 3대 교역지역은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본지역이며 2005년 이후 2020년까지 유지되고 있다. 동북아시아 물동량 비중은 200570.3%에서 202073.1%로 높아졌다. 동남아시아는 18.1%에서 21.0%의 비중을 보였다. 반면, 일본지역의 비중은 3.0%에서 1.7%로 낮아졌고, 그 다음으로 북미주지역이 0.4%에서 1.1%로 높아졌다.

 

인천항의 상위 3대 교역국가는 2005년 중국, 홍콩, 베트남에서 2020년 중국, 베트남, 태국으로 변동되었다. 중국은 부동의 1위 교역국가로서 200566TEU에서 2020197TEU196.8% 증가했다. 베트남은 20051.9TEU에 불과하였으나 202036TEU로 약 18배나 급증하였다. 또한, 미국도 2005 2TEU에서 20203TEU로 약 14배 급증하였다.

 

향후 컨테이너물동량은 해양수산부의 인천항 기본계획에서 2030422TEU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물동량 증가 추세를 볼 때, 2021년 약 350TEU, 2025400TEU 달성이 예상된다.

 

2025년 예정된 인천신항 1-2단계가 완공과 함께 북미주 항로서비스와 유럽 항로서비스가 추가 또는 신규 개설이 이어지는 여부에 따라서 2030년에 최대 500TEU까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공사는 기대하고 있다.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야적장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 화물>

 

인천항의 총 물동량은 200511,307RT에서 202015,188RT34.3% 증가했다. 이 중에서 벌크는 20059,488RT에서 20201156RT7.0%의 소폭 증가세를 보였다. 이는 평택·당진항 등 인근 항만의 개발과 원자재 생산 관련 공장들이 수도권에서 점차 이탈한 결과로 풀이된다.

 

벌크물동량을 품목별로 보면 2005년 대비 2020년 증가한 주요 품목은 유연탄, 석유가스, 차량및그부품이다. 유연탄은 327RT에서 1,335RT309.0% 증가하였으며, 석유가스는 1,935RT에서 2,642RT, 그리고 차량및그부품은 428RT에서 547RT로 각각 36.5%, 27.8% 증가했다. 반면 감소한 품목은 철강, 양곡, 원목 등이 있다.

 

인천항만공사 김종길 운영부문 부사장은 공사가 설립된 이후 16주년을 맞는 올해까지 항만물동량 처리에서 양적으로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많은 성장이 있었다, “인천항 선사·화주의 요구에 부응한 항만물류 서비스와 항만시설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친환경 환만을 지향함으로써, 국내 수도권 수출입 물류 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객님의 의견들입니다.

등록
고객님의 의견들입니다.
번호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공개여부 답변여부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목록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무엇을 도와 드릴까요?챗봇 열기(새창)

빠른메뉴 서비스

메뉴설정